카테고리 없음

리쇼어링, 생산기지를 본국으로 되돌림...문제는 우리경제 영향

리드뉴스 2025. 5. 28. 06:30
반응형

 

 

목차

     

     

    최근 경제 기사를 보면 ‘리쇼어링(Reshoring)’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본국으로 되돌리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오늘은 리쇼어링의 개념, 배경, 국내외 사례, 그리고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해보았다.

    1. 리쇼어링이란?

    리쇼어링(Reshoring)은 기업이 과거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기지나 공장을 다시 자국으로 되돌리는 현상을 말한다. ‘Offshoring’의 반대 개념으로, 해외 생산 → 국내 복귀를 의미한다.

    2. 왜 리쇼어링이 떠오르게 되었을까?

    • ① 글로벌 공급망 불안 – 다시 불거지는 코로나19,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부품 수급 차질이 빈번해짐
    • ② 자국 산업 보호 정책 –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들이 자국 내 제조업 부흥을 위한 보조금·세제 혜택 제공
    • ③ ESG 및 친환경 트렌드 – 장거리 물류 부담과 탄소배출 이슈가 기업 전략에 영향
    • ④ 고도화된 자동화 – 인건비 격차보다 생산 효율성이 중요해지면서 국내 생산의 경제성 회복

    3. 주요 국가들의 리쇼어링 정책

    •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통해 자국 내 제조 유치, 반도체법으로 첨단 산업 리쇼어링 지원
    • 일본: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리쇼어링 기업에 최대 70% 보조금 지급
    • 유럽연합(EU): 에너지·헬스케어·반도체 분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리쇼어링 촉진

    4. 한국의 리쇼어링 현황과 과제

    한국 정부도 2020년 이후 리쇼어링 유치를 위해 법인세 감면, 현금 지원, 규제 특례 등을 확대해왔다. 하지만 성과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대표적인 국내 리쇼어링 사례로는 다음이 있다:

    • 삼성전자의 일부 해외 테스트 라인 국내 이전
    • 코오롱글로텍, 화섬 공장 인도네시아 → 울산 이전

    하지만 여전히 높은 인건비, 까다로운 규제, 입지 부족 등으로 인해 국내 복귀는 제한적이다. 정부는 2024년부터 첨단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더욱 확대해 유턴 기업 수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5. 리쇼어링의 경제적 효과

    • 제조업 부흥: 고용 창출과 기술 생태계 복원 효과
    • 공급망 안정화: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력 향상
    • 기술 보호: 핵심 기술의 해외 유출 방지

    다만, 단기 비용 증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저하 우려 등은 리쇼어링의 부작용으로 꼽힌다.

    결론

    리쇼어링은 단순히 공장을 다시 짓는 것이 아니라, 산업 전략과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떠올랐다. 기업 입장에선 중장기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보호가, 정부 입장에선 일자리 창출과 산업 육성이 리쇼어링의 핵심 동기다. 한국 역시 경쟁력 있는 리쇼어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 개편이 필요하다.

     

    시사경제용어사전(기획재정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