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예금통화승수는 시중에 풀린 돈(예금통화)이 중앙은행이 발행한 본원통화보다 몇 배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쉽게 말해, 중앙은행이 공급한 돈이 시중에서 얼마나 증폭되어 경제 내에서 유통되는지를 나타낸다.
예금통화승수의 개념
예금통화승수 = 예금통화 ÷ 본원통화
본원통화란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현금과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에 예치한 지급준비금을 말한다. 은행들은 본원통화 일부만 준비금으로 남겨두고 나머지를 대출해준다. 이 대출금은 다시 예금으로 돌아와 또다시 대출이 이뤄지는 과정을 거친다. 이처럼 반복적으로 돈이 늘어나는 비율이 바로 예금통화승수다.
예금통화승수가 높다는 의미
- 시중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출을 늘리고 있다는 신호
- 시중에 자금이 풍부하게 풀려 있다는 의미
- 경기가 활발하거나, 자산시장으로 자금이 흘러갈 가능성
예금통화승수가 낮다는 의미
- 은행이 대출을 보수적으로 운영 중
- 경기 둔화 국면이거나 자금 수요가 위축된 상태
- 중앙은행의 통화 긴축 정책 영향일 수 있음
최근 추세와 활용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예금통화승수는 한국 경제 내 유동성 흐름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특히 금리 인상기에는 대출이 줄면서 승수가 하락하고, 경기부양 국면에서는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예금통화승수의 변화를 통해 향후 경기 흐름,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가능성 등을 참고 지표로 삼을 수 있다.
본원통화의 확대 지표
예금통화승수는 중앙은행이 공급한 본원통화가 경제 내에서 얼마나 확대되어 돌아다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경제 흐름을 읽을 때 금리·통화량과 함께 주목해야 할 중요한 금융 지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