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리드뉴스 2025. 2. 11. 23:28
반응형

목차

    대한고혈압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1300만명이 고혈압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인구 10명 중 3명은 고혈압 환자인 셈이다. 남성이 720만명, 여성이 580만명이고, 65세 이상이 580만명에 이른다. 

    고혈압이 말하는 혈압의 범위는?

    고혈압을 측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수축기 혈압 120mmHg , 이완기에 80 mmHg을 정상혈압으로 본다. 수축기 혈압이 120~129 사이면 주의혈압, 130~139 사이면 고혈압 전단계다. 140~159는 1기, 160 이상은 2기 고혈압으로 본다.

     

    혈압환자는 얼마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운영하는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2019년에 고혈압을 이유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는 651만명이었고, 매년 꾸준히 늘어 2023년에는 746만명으로 95만명이 늘었다. 4년새 14%가 늘어난 셈이다. 앞서 대한고혈압학회에서 발표한 추정치 1300만명과 차이가 있다. 고혈압학회가 2025년 추정치를 발표하고, 아래의 자료가 2023년도 환자를 집계한 것이라고 해도 차이가 크다. 

     

    이는 고혈압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고혈압임에도 병원을 찾지 않는 이들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한번 고혈압 약을 먹기 시작하면 평생을 먹어야 한다는 불안감에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약을 복용하더라도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약을 끊을 수 있다. 

    고혈압에 좋은 음식

    고혈압은 증상이 없고, 원인도 불명이다. 일부 원인이 밝혀진 고혈압은 10%에 불과하다. 

     

    고혈압이 발생하는 기전을 보면, 교감신경 활성화로 인하거나 신장의 안지오텐신 기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 때문에 고혈압을 치료하는데는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안지오텐신을 차단하거나, 근육 수축을 일으키는 혈관 내 칼슘을 차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뤄진다. 대다수 고혈압약들도 이런 기전을 고려해 치료제가 만들어진다.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많이 흡수시키는 소금을 피하는 것이 좋다. 수분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체액이 늘어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에서다. 

     

    체중을 줄이는 것이 좋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 심장이 부담을 느끼게 되고 혈압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운동은 매일 중강도로 30분이상, 주5회 이상 하는 것이 좋다. 걷기, 달리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필라테스, 요가, 파크골프도 도움이 된다. 중강도라는 것은 숨이 차서 대화를 하기 어려울 정도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운동을 하게 되면, 같은 고혈압이라도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운동으로 혈압이 떨어지지 않더라도 수명이 연장된다는 점에서 혈압 강하 이상의 유인이 있는 셈이다. 

    728x90
    반응형